간호학생 간호사 정보
간호지식 상부위장관 출혈을 알아보자!! (도서 증정 EVENT)
BY 드림널스2023-03-23 19:20:58
안녕하세요 간호교육콘텐츠 대표기업 드림널스입니다😍
오늘은 위장관출혈 간호 를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영상 다들 잘 보셨나요? 환자분이 토혈 후 Vital Sign이 매우 불안정해요. 이 후 무슨 일이 있게 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장관출혈의 정의, 원인, 구분, 검사, 간호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드림널스 시뮬레이션 영상을 참고했어요💗 bit.ly/3ZPUbI6
1> 위장관 출혈이란? 위장관은 식도부터 항문지의 소화기관을 말해요. 위장관 출혈은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기관 중에 출혈이 발생한 것이에요.
상부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한 출혈을 말하고 하부 위장관 출혈은 소장, 대장, 직장에서 발생한 출혈을 말한답니다.
2> 위장관 출혈 원인 상부위장관 출혈 원인은
1. 위나 십이지장에 궤양 2. 식도 정 수와 크기가 증가하여 식도정맥류 파열 3. 위점막에 병변이나 염증 발생 4. Mallory-Weiss Syndrome[말로리바이스 증후군] (구토가 반복되어 위나 식도의 점막이 찢어지는 질환) 5. 위암 같은 질환
하부위장관 출혈 원인은
1. 치열이나 치핵, 대장 벽에 생기는 주머니에 장 내용물이 고여서 생기는 장게실염 2. 만성 염증성 장질환인 크론병, 용종, 대장염, 결장직장암 같은 질환
등이 있어요. 3> 상부위장관 출혈과 하부위장관 출혈 구분하는 법
위장관 출혈에는 Melena[흑변]과 Hematochezia[혈변]이 있어요.
흑변은 검정색을 띠는 변이에요. 혈액 내의 헤모글로빈이 위산과 반응하거나 대장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혈액이 까맣게 변한 것이기 때문에 상부 위장관 출혈 시 나타나요.
혈변은 하부 위장관 출혈이 있을 때 혈액이 항문을 통해 그대로 선홍색이나 붉은색으로 나오는 것을 말한답니다.
잠깐 주의!! 상부 위장관에 출혈이 다량으로 발생하면 흑변으로 변하기 전 혈변을 보기 때문에 혈변을 봤을 때 무조건 하부위장관 출혈이라고 단정짓지 않고 다른 검사들이 필요할 수가 있어요.
환자가 혈변을 봤다고 한다면 사진을 찍어두거나 변기 물을 내리지 않도록 해서 우리가 직접 혈변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 Point!!!
4> 위장관출혈 검사 위장관 출혈 시 진행하는 검사로는 크게 총 네 가지가 있어요!
1. 혈액검사 2. L-tube irrigation 3. DRE 4. 내시경 + 검사는 이 외에 더 있답니다:)
5> 위장관출혈 간호 위장관 출혈 환자를 담당하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먼저 활력징후를 측정합니다! 출혈이 발생하면 혈액이 손실되면서 저혈량성 쇼크가 올 수 있어요.
그 다음은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해요. 헤모글로빈 수치가 떨어지면 수혈을 진행할 수 있어요.
또 Patient monitor(환자 모니터)를 적용해서 환자상태의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해요.
Q1. 환자가 화장실에서 혈변을 봤다고 호출벨을 눌렀다.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1) 출혈 양상을 확인 하기 위해 변기 물을 내리지 말라고 한다.
2) 출혈으로 인해 어지러울 수 있으므로 당장 침상에 가서 누워있으라고 한다.
3) 담당 의사에게 전화 한다.
4) 주입 중인 수액을 full drip한다.
정답은 다음 시뮬레이션 포스팅 시 공개됩니다🌟
커뮤니티 회원들만 참여할 수 있는 EVENT🥳
댓글에 정답을 달아주시는 분들 중 추첨을 통해 1분께 프셉마음 소화기내과편 을 보내드립니다😆
위장관출혈이 더 궁금하다면?? 간호 시뮬레이션 체험신청 👉🏻 https://forms.gle/zn8GwiYcknGT3TxcA
+추가 참고도서: 프셉마음 소화기간호편 https://smartstore.naver.com/nourseforus/products/6956007562
|
|